韓中, 200해리 해양 경계선 유엔에 제출
(베이징=연합뉴스) 권영석 특파원 = 우리나라가 실효지배 중인 이어도를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는 중
국이 12일 대륙붕 경계에 관한 예비정보를 유엔에 제출했다.
이에 따라 중국이 또다시 이어도를 한·중 양국의 200해리 경제수역이 겹치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자국의 대륙붕 경계선에 포함시켰는지 여부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중 한국대사관에 따르면 한국과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각국이 마감시한인 13일을 앞두고 대륙붕 경계
에 관한 예비정보를 유엔 대륙붕한계위원회(CLCS)에 제출했다
대륙붕 경계 예비정보 제출은 배타적경제수역인 200해리를 초과해 대륙붕 경계선을 설정하려는 국가는
CLCS에 대륙붕 경계정보를 제출해야 한다는 유엔해양법협약 규정에 따른 것이다.
주중 한국대사관 당국자는 "중국은 지난 11일 대륙붕 경계에 관한 예비정보를 유엔에 제출했다"면서
"중국이 제출한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 협의과정에서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마자오쉬(馬朝旭)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번에 제출한 정보는 200해리 바깥 동중국해 일부
지역 경계선을 포함하고 있다"고만 말하고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을 회피했다.
이에 앞서 중국은 지난 2007년12월 중국 국가해양국 산하기구 사이트에서 이어도(중국명 쑤옌자오<蘇
岩礁>)를 자국 영토라고 주장했다가 외교문제로 비화되자 삭제한 바 있다.
중국은 "이어도는 동중국해 대륙붕 위에 있는 중국 대륙 해저의 일부분이며 중국 영해와 200해리 경제
수역내에 있는 중국 영토"라고 주장하며 최신 지도에도 자국 해역에 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주중 한국대사관 당국자는 "한중 양국은 지난 2006년 이어도가 수중 암초로서 영토문제가 아
닌 해양경계 획정 문제라는데 합의한 바 있어 영토분쟁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이어도가 앞으로 배타적경제수역을 확보하기 위한 한중 양국간 협의 과정에서 문제가 될 수
는 있다"면서 "그러나 중간선을 그으면 우리나라 쪽에 들어온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가 실효지배하고 있는 이어도는 국토 최남단 섬인 마라도에서 150㎞ 떨어져 있는 반면 중국 기
점인 서산다오(蛇山島)에서는 직선으로 287㎞나 떨어져 있다.
중국은 또 동중국해상의 댜오위다오(釣魚島ㆍ일본명 센카쿠열도) 등을 둘러싸고 일본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으며 남중국해에서는 아시아 9개국 및 대만과 영유권 분쟁을 빚고 있다.
마 대변인은 남중국해 해양 경계선과 관련, "중국은 남중국해에 대해 확고한 영유권을 갖고 있다"고 거
듭 주장하고 "우리는 다른 나라와 평화적인 협상을 통해 경계선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일본과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과 동중국해나 남중국해에서 해양 경계선 획정
문제와 무인도를 쟁탈하기 위한 치열한 주권 확보 전쟁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국 외교부는 지난 3월 말 육지와 해양의 영토 분쟁을 전담하는 변경해양사무사(邊界海洋事務司)
를 신설하고 주한 중국대사를 지낸 닝푸쿠이(寧賦魁)를 사장(국장)에 임명했다.
이어도
우리나라 남단 제주도의 남서쪽 150㎞에 위치한 바다 속의 암초섬.
|
'History > 영토 분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해군기지]제주해군기지 크루즈·함정 동시정박 해양휴양지로 (0) | 2009.04.30 |
---|---|
[이어도분쟁]中 '이어도 영유권 주장' 웹사이트서 삭제 (0) | 2008.08.14 |
[이어도분쟁]중국 또 ‘이어도’ 야욕, 정부는 대책 부재 (0) | 2008.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