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History/영토 분쟁

[이어도분쟁]韓中, 200해리 해양 경계선 유엔에 제출




韓中, 200해리 해양 경계선 유엔에 제출



(베이징=연합뉴스) 권영석 특파원 = 우리나라가 실효지배 중인 이어도를 자국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는 중

국이 12일 대륙붕 경계에 관한 예비정보를 유엔에 제출했다.


이에 따라 중국이 또다시 이어도를 한·중 양국의 200해리 경제수역이 겹치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자국의 대륙붕 경계선에 포함시켰는지 여부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중 한국대사관에 따르면 한국과 중국, 일본 등 아시아 각국이 마감시한인 13일을 앞두고 대륙붕 경계

에 관한 예비정보를 유엔 대륙붕한계위원회(CLCS)에 제출했다

대륙붕 경계 예비정보 제출은 배타적경제수역인 200해리를 초과해 대륙붕 경계선을 설정하려는 국가는

CLCS에 대륙붕 경계정보를 제출해야 한다는 유엔해양법협약 규정에 따른 것이다.


주중 한국대사관 당국자는 "중국은 지난 11일 대륙붕 경계에 관한 예비정보를 유엔에 제출했다"면서

"중국이 제출한 구체적인 내용은 추후 협의과정에서 파악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마자오쉬(馬朝旭)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번에 제출한 정보는 200해리 바깥 동중국해 일부

지역 경계선을 포함하고 있다"고만 말하고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을 회피했다.


이에 앞서 중국은 지난 2007년12월 중국 국가해양국 산하기구 사이트에서 이어도(중국명 쑤옌자오<蘇

岩礁>)를 자국 영토라고 주장했다가 외교문제로 비화되자 삭제한 바 있다.


중국은 "이어도는 동중국해 대륙붕 위에 있는 중국 대륙 해저의 일부분이며 중국 영해와 200해리 경제

수역내에 있는 중국 영토"라고 주장하며 최신 지도에도 자국 해역에 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주중 한국대사관 당국자는 "한중 양국은 지난 2006년 이어도가 수중 암초로서 영토문제가 아

닌 해양경계 획정 문제라는데 합의한 바 있어 영토분쟁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이어도가 앞으로 배타적경제수역을 확보하기 위한 한중 양국간 협의 과정에서 문제가 될 수

는 있다"면서 "그러나 중간선을 그으면 우리나라 쪽에 들어온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가 실효지배하고 있는 이어도는 국토 최남단 섬인 마라도에서 150㎞ 떨어져 있는 반면 중국 기

점인 서산다오(蛇山島)에서는 직선으로 287㎞나 떨어져 있다.


중국은 또 동중국해상의 댜오위다오(釣魚島ㆍ일본명 센카쿠열도) 등을 둘러싸고 일본과 영유권 분쟁을

벌이고 있으며 남중국해에서는 아시아 9개국 및 대만과 영유권 분쟁을 빚고 있다.


마 대변인은 남중국해 해양 경계선과 관련, "중국은 남중국해에 대해 확고한 영유권을 갖고 있다"고 거

듭 주장하고 "우리는 다른 나라와 평화적인 협상을 통해 경계선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중국은 일본과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과 동중국해나 남중국해에서 해양 경계선 획정

문제와 무인도를 쟁탈하기 위한 치열한 주권 확보 전쟁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국 외교부는 지난 3월 말 육지와 해양의 영토 분쟁을 전담하는 변경해양사무사(邊界海洋事務司)

를 신설하고 주한 중국대사를 지낸 닝푸쿠이(寧賦魁)를 사장(국장)에 임명했다.



이어도

우리나라 남단 제주도의 남서쪽 150㎞에 위치한 바다 속의 암초섬. 

이어도는 제주도민에게는 바다에 나가 돌아오지 않은 아들이나 남편이 살고 있다는 전설속의 이상향으

로 문학 작품 속에서도 자주 등장했다.


암초 정상이 바다의 표면에서 4.6m 아래에 잠겨 있어, 파도가 심할 때만 그 모습을 드러내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이어도는 1900년 영국상선 스코트라호에 의해 존재가 처음 알려졌으며 1984년 제주대

학팀의 조사에 의해 실체가 확인됐다. 


정확한 위치는 마라도 서남쪽 81해리(149㎞), 중국 뚱다오(童島) 북동쪽 134마일, 일본 도리시마(鳥島)

서쪽 160마일 지점으로 국내 해양학계에서의 공식 명칭은 파랑도(破浪島)이다. 해도상에는 
스코트라록

(Scotra Rock)으로 표시되기도 한다. 


이어도는 수심 50m를 기준으로 할 때 면적이 11만3000평 규모이고 인근 수역은 조기 민어 갈치 등 다

양한 어종이 서식하는 '황금어장'이며, 중국 동남아 및 유럽으로 항해하는 주항로가 인근을 통과하는 등

지정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해역이다. 


해양수산부는 해양연구 기상관측 어업활동 등을 위한 이어도 과학기지 설치를 위해 지난 95년부터 

저지형
 파악과 조류관측 등 현장조사를 실시해왔다. 2001년 과학기지 공사가 착수되었으며 2003년 6

월 완공되었다.

파랑도(波浪島)라고도 한다.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加波里) 마라도(馬羅島)에서 남서쪽으로 149

㎞ 떨어진 
동중국해(東中國海)에 있다. 중국의 서산다오[余山島]에서 287㎞, 일본 나가사키현[長崎

縣] 도리시마[鳥島]에서 276㎞ 떨어진 해상에 위치한다. 




수중 암초(暗礁)로 해저광구 제 4광구에 있는 우리나라
대륙붕의 일부이다. 암초의정상이 바다 표면

에서 4.6m 아래에 잠겨 있어 파도가 심할 때만 그 모습을 드러낸다. 이 때문에 옛날부터 제주도에서

는바다에 나가 돌아오지 않는 아들이나 남편이 살고 있다는 전설 속 환성의 섬 또는 피안의 섬으로 일

컬어져 왔다. 정상부를 기준으로 동쪽과 남쪽은 급경사를 이루고, 서쪽과 북쪽은 완만한 경사를 이룬

다.면적은 50m 등수심선을 기준으로 약 2㎢(동서 약 1.4㎞, 남북 약 1.8㎞)이다.




1900년 영국상선 소코트라(Socotra)호가 처음 발견하였으며, 선박의 이름을 따 소코트라 암초

(Socotra Rock)라고 불리었다. 1910년 
영국 해군에 의해 수심 5.4m의 암초로 측량된 바 있고, 이후

1938년 일본이 인공구조물 설치를 계획하였으나 
태평양 전쟁으로 무산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51년 국토규명사업의 일환으로 
이어도 탐사를 시작하여 암초를확인한 뒤, '대한민국 영토 이어

도'라고 쓰여진 동판 표지를 바다 속에 가라앉히고 돌아왔다. 1987년에는 
해운항만청에서 이어도 등

부표를 설치하고 이를 국제적으로 공표하였으며, 이는 이어도 최초의 구조물이다.

인근 수역은 조기·민어·갈치 등의 다양한 어종이 서식하며, 중국·동남아시아 및 유럽으로 항해하는

주항로가 인근을 통과하는 등 지정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해역이다.
해양수산부는 해양연구·기상관

·어업활동 등을 위한 이어도 과학기지 설치를 위해 1995년부터 해저지형 파악과 조류관측 등 

장조사
를 실시해왔으며 2003년 6월 이어도 정봉에서 남쪽으로 약 700m 떨어진 곳에 이어도 해양과

학기지
(동경 125도 10분 56.81초, 북위 32도 07분 22.63초)를 설치하였다. 2001년 6월 30일 정식

으로 발효된 한·중어업협정에서 섬 유역이 한국과 중국 어선이 공동으로 조업하는 한·중 
중립지대

설정되어 논란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