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IoT

알렉싸의 무한변신 인공지능 비서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건 무엇일까? 인공지능 성능? 중요는 하겠지만,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 그다지 핵심적인 건 아니다. 가령 인공지능 비서가 세탁기를 작동한다고 해보자. 적절하게 빨래를 도와주긴 할 것이다. 그러나 로봇 팔이라도 있지 않다면 결국 빨래를 넣고, 꺼내고, 세제를 넣고, 무엇을 세탁할 것인지 설정하는 것은 모두 인간의 몫이다. 인간의 행동을 모두 해결할 수 없다는 건 성능만으로 일상생활을 화려하게 바꾸지 못한다는 결론을 내리게 한다. 그렇다고 인공지능 비서가 쓸모없다는 의미는 아니다. 2014년, 아마존이 '에코(Echo)'를 출시했을 때의 충격은 잊을 수 없다. 경쟁 업체들이 거실을 가지기 위해서 천문학적인 마케팅 비용을 쏟아붓고 있을 때, 아마존은 거대한 발표회나.. 더보기
Internet of Things 사물 인터넷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약어로 IoT)은 각종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물이란 가전제품, 모바일 장비, 웨어러블 컴퓨터 등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이 된다. 사물 인터넷에 연결되는 사물들은 자신을 구별할 수 있는 유일한 아이피를 가지고 인터넷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데이터 취득을 위해 센서를 내장할 수 있다.모든 사물이 해킹의 대상이 될 수 있어 사물 인터넷의 발달과 보안의 발달은 함께 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정보 기술 연구 및 자문회사 가트너에 따르면 2009년까지 사물 인터넷 기술을 사용하는 사물의 개수는 9억개였으나 2020년까지 이 수가 260억 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많..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