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oods

꿀맛에 빠진 대한민국




허니버터칩·꿀막걸리… 꿀맛에 빠진 대한민국



男女老少 누구나 좋아하는 꿀의 모든 것 한국인 1인당 年 650g 먹어… 총생산 70%가 아카시아꿀
 
꿀뜨기 3~7월 '한철 장사' 허니 열풍덕에 수요 늘듯 

설탕보다 열량 낮은 건강식… 포도당과 과당으로 구성 바로 흡수, 에너지원 유용… 항균·항산화 효능

도 
꿀벌 실종, 생태계 위협… 식물 수정에 핵심적 역할 사과·배 등 국내 주요작물 생산 기여액 6조원 달해


'꿀 열풍'이다. 포문(砲門)은 지난해 출시돼 약 200억원의 매출을 올린 해태제과의 '허니버터칩'이 열었

다.



해태제과는 지난 8일 "허니버터칩 품귀 현상 해결을 위해 공장을 증설해 내년 2~3월부터 가동할 계

획"이라고 밝혔다. '허니버터칩'의 인기에 힘입어 스낵 시장은 '꿀'이 접수했다. 농심은 지난해 12월
  
'허니버터칩'의 대항마로 '수미칩 허니머스타드'를 내놨다. 롯데제과는 올 2월 '꿀먹은 감자칩'을 출시했

다.

[Why] 허니버터칩·꿀막걸리… 꿀맛에 빠진 대한민국


라면 업계도 꿀에 손을 뻗었다. 삼양식품이 내놓은 '큰컵 허니치즈볶음면'은 할라피뇨(멕시코 고추)의

매운맛과 벌꿀의 단맛을 배합했다. 편의점 CU에선 '허니 불타는 볶음면'이 나왔다. 주류 업계도 편승했

다. 꿀 맥주, 꿀 막걸리가 주점(酒店) 메뉴판에 오르기 시작했다.


한국양봉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1인당 꿀 소비량은 650g. 로열젤리, 프로폴리스, 화분, 봉독 등을

모두 포함한 양봉산업 규모는 4256억원이다. 유통업계에선 '허니 마케팅' 덕에 당분간 국내 꿀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에서 가장 흔한 건 아카시아꿀

우리나라의 채밀(採蜜·꿀 뜨기)은 3월 말 제주에서 시작된다. 제주 특용작물인 유채의 개화 시기에 맞춰

서다. 유채꿀은 황금색을 띠며 상큼한 풀 향기가 나고 용기에 담으면 크림 형태가 된다.



5월 중순부터는 아카시아꿀 채집이 시작된다. 아카시아꿀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꿀이다. 전정우 한

국양봉협회 양봉산물연구소장은 "국내 꿀 총 생산량의 70%가 아카시아꿀"이라고 했다. '허니버터칩'의

'꿀맛'도 아카시아꿀의 힘이다. 해태제과 관계자는 "'허니버터칩'의 전체 원료 중 0.01%가 아카시아

꿀"이라고 설명했다. 아카시아꿀은 처음엔 아이보리색을 띠다가 시간이 지나면 황금빛으로 변한다. 은

은한 향이 나면서 맛이 부드럽다.


5월말 아카시아꿀의 채밀이 종료되면 이번엔 밤꿀을 뜰 차례다. 밤꿀 채집은 6월 중순께부터 남부지방

을 중심으로 시작된다. 빛깔은 불투명한 암갈색으로 씁쓸한 맛이 나며 향기가 진하다. 국내 생산량은 전

체의 10% 미만으로 적다. 최용수 농촌진흥청 잠사양봉소재과 박사는 "밤꽃이 벌에게 인기가 별로 없다.

밤꽃이 피는 시기에도 주변에 다른 꽃이 피어 있으면 다른 꽃에 우선 간다"고 했다.



제주 지역 밀감 농장에선 5월께 밀감꿀을 뜬다. 고산 지역 일교차 큰 곳의 싸리나무에선 담황색 싸리꿀

을 뜨기도 한다. 꿀벌이 꼭 한 가지 밀원(蜜源)만 택하리라는 법은 없다. 잡화(雜花)꿀은 벌이 여러가지

 꽃에서 가져온 꿀이다. 우리나라 꿀 뜨기는 7월 장마 전 대부분 종료된다. '한철 장사'인 셈이다.



단숨에 흡수되는 에너지원

[Why] 허니버터칩·꿀막걸리… 꿀맛에 빠진 대한민국

인간이 먹는 꿀은 '꽃꿀(花蜜)'을 꿀벌이 자신의 몸에서 나오는 효소

로 변환시킨 것이다. 꿀벌은 소화기관 앞의 꿀주머니에 꽃꿀을 넣어

나른다. 이를 효소를 이용해 과당과 포도당으로 변환시켜 벌집에 저

장한 후 날갯짓 등으로 수분을 증발시켜 농축시킨다. 이승환 서울대

농생명공학부 교수는 "꿀벌은 새끼를 먹이고 자신이 먹기 위해 다당

류인 꽃꿀을 흡수가 빠른 단당류로 전화(轉化)해 저장한다"면서 "벌

꿀을 '자연이 만든 가장 완벽한 식품'이라고 하는 건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최용수 농진청 박사는 "설탕은 이당류라 에너지원으로 이용되려면

대사 작용을 거쳐야 하지만, 단당류인 포도당과 과당으로 구성된 꿀은 바로 흡수되기 때문에 빠르게 에

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면서 "설탕보다 꿀이 건강에 좋다고 하는 건 이런 이유에서다"라고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국내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아카시아꿀의 열량

은 100g당 296㎉로 100g당 400㎉인 백설탕보다 낮다. 참고로 물엿은 100g당 300㎉ 정도다.


항균 작용도 널리 알려진 꿀의 효능 중 하나다. 뉴질랜드 토착 식물인 마누카 나무를 밀원으로 하는 마

누카꿀은 항균력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다. 한상미 농진청 양봉산물연구실 박사는 "마누카꿀뿐 아니라

다른 꿀에도 항균력이 있다"고 말했다.


밤꿀의 경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억제하고 항균·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씁

쓸한 맛 때문에 식용으로 널리 쓰이지는 않는 편이다. 입가가 헐었거나 마사지를 할 때 피부에 꿀을 바

르는 것은 꿀의 보습력과 항균·항산화 효과 때문이다.


토종꿀이 양봉꿀에 비해 몸에 좋다는 믿음에는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최용수 농진청 박사는 "아직까지

엄밀하게 분석한 사례는 없다. 양봉꿀은 단일 밀원을 사용하고 토종꿀은 여러 가지 꽃에서 채취한다.

워낙 여러 꽃에서 가지고 오니까 지역별로 다 달라서 분석하기가 힘들다"고 했다.


한의학에선 오래 전부터 꿀의 효능을 인정해 왔다. '동의보감'엔 "꿀이 허약한 기운을 북돋고 소화기를

강화시키고 통증을 줄여주며 해독 작용이 있다"는 내용이 있다. 사상의학에서는 "꿀이 소화기가 약하고

기력이 떨어지기 쉬운 체질인 소음인에게 좋다"고 설명한다. 이진우 세종로한의원 원장은 "그렇지만 꿀

이 단위 용량에 비해 칼로리가 높고,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당뇨 환자나 비만인 사

람, 알레르기 환자 등이 고용량을 장기간 복용할 때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사라지는 꿀벌, 대책이 필요해

인류와 꿀벌의 공존은 오래 됐다. 기원전 7000년쯤에 그려진 스페인의 아라냐 동굴 벽화에는, 여성이

줄사다리를 탄 채 한 손엔 바구니를 들고 다른 한 손은 벌집에 넣어 꿀을 채집하는 장면이 묘사돼 있다.

남아프리카 짐바브웨에선 돌 틈에 둥지를 튼 꿀벌을 연기로 쫓아내며 채밀하는 장면이 표현된 벽화가 발

견됐다. 고대 이집트에선 꿀벌 모양이 왕권(王權)의 상징으로 사용되었다.



우리나라의 양봉은 약 2000년 전쯤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의 역사서 '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643년 백제의 태자 여풍이 꿀벌의 벌판 네 개를 가져와서 미와산에서 길렀으나 잘 번식하지 않았다"는

기록이 있다. 음식 칼럼니스트 박정배씨는 "우리나라에선 1920년대까지 꿀로 단맛을 냈다. 일제강점기

에 일본 유학을 다녀온 영양학자들에 의해 '조선민족이 선진화되려면 설탕을 많이 써야 한다'는 인식이

박히게 되면서 설탕이 꿀을 대체하게 됐다"고 말했다. 요즘의 '허니 열풍'은 전통적 입맛으로의 '회

귀'인 셈. 박정배씨는 "은근한 단맛, 끈적거리는 물성, 황금빛 색감 등도 꿀이 지닌 매력적인 요소"라고

했다.



'허니 열풍' 덕에 국내 꿀 수요는 늘어날 전망이지만 정작 지구상 꿀벌의 수는 감소하고 있다. 정체불명

의 원인으로 꿀벌들이 사라지는 CCD(Colony Collapse Disorder·군집붕괴현상)'는 전 세계적인 관심사

다. 미 농무부 연구청은 2006년 후반 "(미국에서) 약 6개월간 25~40%의 꿀벌이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

를 발표했다. CCD 현상은 이후 캐나다, 남미, 유럽, 호주 등에서도 잇달아 보고됐다. 스트레스, 질병,

농약 및 환경오염, 해충 등이 원인으로 꼽히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CCD 현상은 인류의 생존에 큰 위협이 된다. 지구상 식물의 70%가 곤충에 의해 수정(受精)되며, 이 중

절반 이상이 꿀벌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유럽 등지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도시 양봉은 꿀벌 감

소로 인한 생태계 파괴를 막기 위한 방지책이다.



국내 상황은 비교적 좋은 편이다. 최용수 농진청 박사는 "토종벌은 질병 때문에 90% 정도 폐사했지만,

양봉에 사용되는 서양종 꿀벌 개체수는 170만 통 정도로 거의 변화가 없다"고 했다. 그렇지만 안심하고

있을 순 없다. 농진청에 따르면 사과, 배, 복숭아, 고추, 피망, 딸기, 오이, 애호박 등 국내 16개 주요 작

물의 연간 생산액은 12조5000억원, 그 중 꿀벌이 수정해 생산하는 것이 5조8000억원(약 48%)에 달한

다. 목초지와 동물성 사료도 꿀벌에 기대고 있다. 농진청은 번식력이 왕성해 일반 꿀벌보다 벌통당 일벌

수가 45% 정도 많고, 꿀 수집 능력도 31% 정도 높은 '장원벌'을 개발, 올해부터 농가에 보급할 예정이

다.
















[

'Foo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품재료] 산나물의 종류  (0) 2013.02.10